본문 바로가기
자기계발

PMP 자격증 취득 방법 및 후기(난이도, 시험 일정) - 1편

by 메디랜드 2023. 6. 12.
728x90

메디랜드입니다. 안녕하세요.

한국에 돌아온 기념으로 의미있는 일을 해보고자 PMP 자격증 취득을 도전하고자 합니다. 먼저 PMP 자격이 무엇인지 취득을 위해 어떠한 것들을 준비하여야 하는지 함께 알아보시죠.

먼저 PMP는 무엇이기에 여러 사람들이 자격을 획득/취득하려고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PMP의 정의

PMP는 Project Management Professional의 약자입니다. 즉, "Project 경영 전문가" 임을 증명해주는 자격이라고 생각하시면 아주 편하실 것 같습니다.

PMP = Project 경영 전문가
- Project Management Professional

 

사실 Project라는 단어는 건설(엔지니어링)회사에서 많이 사용하는 용어로 저는 알고 있었습니다. Project 수주, Project Financing 등등... 그래서 해당 PMP라는 자격증이 건설회사에서만 해당하는 사항인 줄 알았었죠. 그런데, 요즘은 꼭 Project란 단어를 건설업에 한정하지 않는 것이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각 기업들은 각 Task를 Project로 명명하고 개별의 조직을 만들어 해당 Project를 성공적으로 만들기 위해 여러 노력을 하고 있죠. 그래서 정해진 자원(시간과 돈)을 활용하여 진행하는 Project를 성공적으로 이끌어 가는 능력이 필요하고 그리하여 각광받고 있는 사항이 Project Management 능력입니다.

Project Management는 꼭 예전 우리가 생각하던 부장님들, 임원분들만 하는 사항이 아니랍니다. 요즘은 젊은 그룹의 Leader 뿐 아니라, 구성원들도 Project Management를 진행하게 되니까요!! (그렇기 때문에 여러 회사에서 자격수당을 주는 것이기도 하니까요... 근데 요즘은 많이 사라졌다고 하네요... 그러나 대부분의 대형기업들은 아직 자격수당을 제공한다고 합니다.)

어쨋든, 소규모 단위로 Task를 수행하게 되는 요즘 업무 특성 및 Trend와 맞아 떨어지는 사항같습니다 :)

정확히 말씀드리자면 PMP는 미국의 PM(Project Management) 전문 기관인 PMI(Project Management Instiute)에서 주관하는 대표 PM 자격을 칭하는 것입니다.

2. PMP Domain 

PMI에서 이야기하는 PMP를 취득하고 운용하는 사람은 기본적으로 People(사람), Process(프로세스) 그리고 Business Environment(비즈환경) 등에 대해 관리 운영이 가능한 사람이라고 인정하고 있습니다.

또한, 변화하는 Biz. Trend에 맞춰 이제는 Predictive, Agile & Hybrid 관리 방식에 대해 고루 이해하고 있는 전문가를 의미하죠. (실제로 그런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PMI에서 주관하는 인증자격시험 또한 당연히 위 항목들을 바탕으로 출제됩니다.

글로 봐서는 뭔가 굉장히 어려워 보이지만, 실제 공부를 해보시면 그렇게 어렵지 않다고들 하더라구요. 주변에도 PMP자격증을 굉장히 많이 가지고 계십니다. (혹자는 돈주면 딸 수 있는 자격증이라는데... 시험 유형도 많이 바뀌었고, 이제는 그렇게 쉽게 따는 사항은 아니란 걸 우리는 잘 알고 있지 않겠습니까?)

 

3. PMP 응시 자격 요건

PMP 자격증 취득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2개의 기본적인 응시조건을 만족하여야 합니다.

응시조건은 대학을 졸업(학사학위)한 인원과 비 졸업인원에 따라 Project 경력의 구분이 있습니다. (비학사 인원에 대한 불이익이라기 보다는 학사학위를 위한 기간을 인정해주는 것으로 보입니다.)

1. Project 경험 보유 필요
    - 학사학위 이상 : 36개월의 Project 관리 경력/경험
    - 비학사 : 60개월의 Project 관리 경력/경험

2. PM 관련 교육 35 시간 이수/수료

 

위에서 정리된 바와 같이 PMP 자격증 시험 응시를 위해서는 "Project 관리 경력/경험 36개월(60개월) 또는 그에 응하는 시간인 4,500 시간(7,500 시간)이 요구되어 집니다. 단, 해당 경력/경험은 시험 응시일로부터 8년 내 경력만 인정합니다.

사실 여기서 말하는 Project를 너무 거창하게 생각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회사를 다니시며 수행한 모든 Project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본인이 이러한 사항을 정확히 잘 설명해 낼 수만 있으면 된다고 저는 생각해요 :)

또한, PM 관련 교육을 35 시간 이상 학습하고 이수 실적이 필요합니다. 요 사항이 참 애매합니다. 분명한건 꼭 PMP 자격증 수업이 아니어도 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저는 PM 관련된 여러 교육을 회사에서 제공 들었으므로 해당 사항으로 증명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 

위 두 모든 사항은 PMI 회원가입 및 시험 응시 진행 과정에서 입력을 필요로 하는 사항이니, 천천히 꼼꼼히 잘 입력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참고로 PMI에서 전체 인원의 약 10%를 대상으로 랜덤 심사를 진행하게 된대요. 심사에 당첨(?)되신 경우... 경력증명서 및 교육 수료증을 준비하여 제출하셔야 하니... 너무 허무맹랑한 경력과 교육 경험을 입력하시면 다소 위험하실수도 있다는 거 참고해 주세요.

PMP 자격 시험에 대해서 어느정도 이해에 도움이 되셨을지 모르겠으나... 뭐 특별한 것도 없는 것 같습니다 ㅋㅋ 이정도 수준으로 이해한 뒤, 우리가 해야 할 일은 공부겠죠!! 😎

 

 

728x90